본문 바로가기
건강질환

자궁경부암 증상과 치료

by 꿈제이 2022. 12. 25.
반응형

정의

 

자궁의 입구인 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으로, 대표적인 여성암중 하나입니다. 암이 되기 전단계인 전암단계를 상당기간 동안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암단계로는 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중간인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에서  점차적으로 상피내에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암 0기 그다음은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원인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 Human Papilloma Virus)감염과,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헤르페스 감염등이 원인이 된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이중 가장 영향을 끼치는 바이러스로는 인유두종(HPV)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성적인 관계에 의해서 감염되는데, 성인 남여 약 80% 이상에서 일생동안 한 번은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감염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다 암을 일으키는 고위험 바이러스는 아니며, 세포조직을 통해 얻어낸 검사로 유형을 파악하는데, HPV16, 18, 32, 33번이 암을 일으키는 고위험군 유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감염되었다고 해서, 모두 암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1~2년이네 70~80%의 감염자는 자연소멸되고 나머지가 암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 밖에 원인으로 피흡연자에 비해 흡연자가 자궁경부암에 걸릴 위험이 1.5~2.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병이나 장기간 경구피임약의 사용, 출산 횟수가 많은 경우에도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자궁경부암의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진행이 된후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암세포들이 덩어리를 만들면서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을 과잉으로 만들기 때문에 혈관 분포가 많아져 비정상적인 질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운동시나, 대변볼때 혹은 관계후에 나타날수 있습니다.

 

암덩어리의 괴사나 2차적 감염으로 인한 질분비물의 증가를 보일 수 있고, 진행이 된 단계에서는 체중감소와 골반통 요통등이 나타납니다. 

 

출처 Unsplash

진단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의사의 진찰을 받습니다.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하여, 세포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필요시 조직검사를 하여 확인합니다.

 

조직검사를 시행하여도 자궁경부암의 침범범위를 확실히 알 수 없다면, 원추절제술을 하여 침윤정도를 확인하고 진단과 치료의 두 가지 목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의 병기를 설정할 때는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 공병영상(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시행하여 병기를 설정하고 치료계획을 세웁니다. 

 

 

진행단계

 

병기는 1~4기로 나누고 흔히들 말하는 0기는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피내암이라고 하지만 전이가 없어 암의 분류에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1기 암이 자궁경부에만 국한되고 전이가 없는 경우, 2기는 자궁경부를 벗어나 질벽 2/3까지 침윤하거나 결합 조직에 침윤한 경우, 3기는 질의 하부 1/3까지 침윤 & 골반벽과 요관에 침윤한 경우, 4기는 주변장기나 원격전이가 된 경우를 말합니다. 

 

 

치료

 

치료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천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환자의 병의 진행속도와 전반전인 컨디션을 고려하여 치료방향을 결정하게 됩니다. 전암단계에서는 원추절제를 통해 부분을 떼어내고 임신도 가능하지만, 침윤성인 경우는 광범위자궁절제술이나 항암, 방사선치료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수술은 원추절제술과, 자궁절제술, 국소파괴요법(고주파, 레이저, 동결요법)등이 있습니다.

 

1기와 2 기초에서는 광범위자궁절제술(자궁주위 조직, 질상부, 골반림프절까지 절제)을 시행하며 완치에 가까울 정도로 경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기 말부터는 방사선치료와 항암요법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가 많고, 주기적으로 반응평가를 하여 암의 재발을 판정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치료의 합병증과 예방방법 백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궁경부암의 치료합병증과 예방방법

치료 합병증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정기검진을 받는것이 중요합니다.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초기에는 3개월에 한 번씩 혈액검사와 함께 영상의학검사 필요시 조

dreamjyoung.com

 

 

반응형

댓글